분류 전체보기
-
아즈텍 제국의 기괴한 풍습과 문화, 유적들 - 4부기묘한 이야기 2019. 8. 29. 17:33
◆ 피를 마셔라 아즈텍 사회에서 피는 인간의 정수를 담은 신성한 액체였다. 그것은 굉장히 신성하고 놀라운 힘을 지닌 액체였고 마치 그리스 신화의 넥타르와 같았다. 인간의 살은 신들의 음식이고 피는 신의 음료라고 아즈텍 사람들은 굳게 믿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 거룩한 음료를 즐길 수 있는 것은 신들만이 아니었다. 아즈텍 사람들도 피를 마셨던 것이다. 물론 그들도 사람인지라 피를 쭉 들이키는 기괴한 짓은 하지 않았다. 대신 아즈텍 인들은 맛을 내기 위해서 다른 음식과 섞어서 피를 먹고는 하였다. 예를 들자면 베르날 디아스는 아즈텍 청년들이 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카카오에 희생자의 피를 섞어 특제 음료를 만든다고 기록하였다. 또 디에고 두란은 아즈텍인들이 제의 때 아마란스 씨앗과 피와 꿀을 한데 섞어서 구워낸..
-
아즈텍 제국의 기괴한 풍습과 문화, 유적들 - 3부기묘한 이야기 2019. 8. 29. 17:31
◆ 너희는 우리의 빵이다 아즈텍 제국이 배출한 최고의 재상이자 황제 다음가는 권력자였던 틀라카엘렐은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신에게 새롭게 건축된 대신전을 봉헌하는 영광스러운 자리에서 그의 형인 몬테수마 1세에게 한 말이었다. "우리의 신들을 위한 음식을 찾자. 신들이 배가 고플 때 식사에 필요한 인간 제물을 사러 가기 편리한 시장을 찾자. 우리가 배가 고프면 따끈한 옥수수 빵을 먹는 것처럼... 우리들의 시장과 장터를 틀락스칼라, 우엑소트신고, 촐롤라, 아틀릭스코, 틀릴루키테펙, 테코악의 여섯 개 부족 앞에 위치시킨 것은 참으로 현명한 일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 도시의 주민들은 위대한 신들에게 화덕에서 막 꺼낸 따끈따끈하고 말랑한 빵과 같으니, 이 도시국가들과 전쟁을 할 땐 이들을 멸망시키지 않도록 ..
-
아즈텍 제국의 기괴한 풍습과 문화, 유적들 - 2부기묘한 이야기 2019. 8. 29. 17:29
◆ 인간 가죽으로 만든 옷을 입고 다닌 아즈텍 사제들 아즈텍 신 중에 시페 토텍이라는 신이 존재한다. 이 신이 관장하는 영역은 굉장히 넓다. 생과 사, 부활, 농업 등 주로 풍작에 연관된 신격을 가지고 있었는데, 시페 토텍의 특징은 사람의 살가죽을 뒤집어 쓰고 다닌다는 점이었다. 시페 토텍의 붉은 속피부는 전 해의 작물이고, 뒤집어쓴 노란 가죽은 새 해의 가죽을 상징한다. 따라서 시페 토텍의 사제들도 신을 본받아 제물의 살가죽을 벗긴 다음 옷처럼 입고 다녔다. 문제는 이런 끔찍한 행위가 매년 되풀이 되었다는 것이다. 아즈텍 말로 틀라카시페우알리츠틀리라 불리는 시페 토텍 풍양제는 춘분 직전, 다시 말해 3월 경에 시작되는 대대적인 행사였다. 이 시기에 사제들은 희생자의 심장을 도려내서 제물로 바친 다음, ..
-
아즈텍 제국의 기괴한 풍습과 문화, 유적들 - 1부카테고리 없음 2019. 8. 29. 17:25
◆ 아즈텍 제국의 기원 기원전 멕시코 북부에 살던 메시카(Mexica)라는 유랑민족이 남하해 텍스코코 호수에 자리를 잡은 것이 그 시초다. (주 : Mexica라는 스펠링 때문에 스페인 발음으로 읽어서 '메히까' 가 아니냐는 의견도 가끔 보이는데, 사실은 '메쉬카'가 더 정확한 발음이다. 애초에 스페인어가 아니라 원주민들이 쓰던 나우아틀어가 기원이다.) 이들이 멕시코 케레타로에서 왔다는 설도 있고 텍사스 부근에 살다가 왔다는 설도 있다. 치치멕족의 한 분파라는 설도 있다. 사실 타임머신이 있는 것도 아니라 메시카 족이 어디서 왔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아무튼 이들이 북쪽에서 온 유목민들이라는 사실만 기억하면 되겠다. 메시카 족은 떠돌이 생활 끝에 텍스코코 호수의 작은 섬에 정착했고 나중에 그 곳을 자신들의..
-
이 사진의 여자는 목이 꺾여있는 걸까? - 일본괴담, 심령사진기묘한 이야기 2019. 8. 29. 17:19
'있을 수 없는 목의 각도'라 불리는 심령사진 2010년 6월 1일, 일본의 한 잡지에 심령사진으로 소개된 한 장의 사진이 일본 미스터리 마니아들을 흥분시킵니다. 그리고 이 한 장의 심령사진은 5일부터 한국의 각종 인터넷 컨테츠로 퍼져 순식간에 화제의 사진이 됩니다. 사진과 함께 한국의 인터넷에 전해진 내용은, 이 사진이 최초로 실렸던 일본의 잡지에 심령사진의 소갯글로 쓰여있던 본문이 그대로 번역되어 퍼져 나갑니다. 아래의 내용과 사진은 최초 잡지에 실렸던 사진과 기사의 내용입니다. 참고로 기사의 내용은 직접 번역한 것이며 번역내용의 끝에는 당시 실렸던 심령사진이 기재되어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있을 수 없는 목의 각도, 관객에 섞여 있는 기분 나쁜 여자 모 TV프로의 공개 녹화 중에, 있을 수 없..
-
로스웰 외계인 해부 사건 - 2부기묘한 이야기 2019. 8. 29. 17:14
'Alien Autopsy', '레이 산틸리 필름'의 진실을 밝히다 로스웰의 외계인 모형을 만들어 주었던 특수효과 조각가인 험프리즈가 10년간의 비밀유지를 끝으로 이 영화의 제작과 개봉을 이유로 진실고백을 하게 됩니다. 이렇게 오랜 기간 묵묵히 쿼티필름사와 산틸리의 비밀을 지켜주었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영화의 내용은 레이가 자신이 봤던 진짜 외계인 해부 필름을 리메이크 하여 세상에 공개했고, 1억 2천만 명의 시청자들이 그들이 집에서 만든 해부 필름을 시청하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영화 마지막에 레이는 진본 필름의 일부가 복원되었다고 말하며 이야기의 끝을 맺게 됩니다. 충격적인 전말을 담은 영화 'Alien Autopsy', 하지만 우리는 'Alien Autopsy'가 엄연히 각본이 존재하는 '영화..
-
로스웰 외계인 해부 사건 - 1부기묘한 이야기 2019. 8. 29. 17:11
2006년 4월 6일, 미스터리 마니아들을 큰 혼란에 빠뜨리게 되는 기사가 공개됩니다. 20세기 최대 미스터리였던 '로스웰 외계인 해부 필름'이 가짜였다는 내용의 기사가 바로 그것인데요, BBC 월드뉴스와 맨체스터 이브닝 뉴스 같은 유수 매체들에 실렸다는 것이 그 실망감을 더 해주게 됩니다. 거기다 자신이 직접 외계인 모형을 제작했으며, 필름에서 부검의로 직접 출연했다고 밝힌 인물이 바로 존 험프리즈여서 이 기사는 번역되어 세계 곳곳의 인터넷 뉴스로 퍼지게 됩니다. 우리에게도 친숙한 영화인 '찰리와 초콜릿 공장', 그리고 인기드라마 '닥터후'의 특수효과 조각부분을 전담하던 존 험프리즈는 다음과 같이 밝혔습니다. 험프리즈는 불시착한 외계인의 해부장면을 촬영하는 데 필요한 외계인 모형을 제작했고 그 필름에 ..
-
시간 여행자는 정말로 있을까?(time-traveler) - 3부기묘한 이야기 2019. 8. 29. 16:37
찰리 채플린의 영화 '더 서커스'에 찍힌 시간 여행자 2010년 3월 엄청난 화제를 낳았던, 캐나다 정부가 운영하던 온라인 박물관 사이트에 올라온 시간 여행자인 듯한 남자가 찍힌 한 장의 사진의 기억이 체 잊히기도 전에 그 해 10월 또 다른 시간 여행자인 듯한 한 중년 여인이 찍혀 있는 사진이 이슈가 되었다. 찰리 채플린의 열렬한 팬인 베오그라드의 영화제작자, 게오르케 클라케는 찰리 채플린의 1928년 영화 '더 서커스'를 관람하던 중 마치 휴대폰으로 통화하며 걸어가는 듯한 중년의 여성을 발견합니다. 깜짝 놀란 클라케는 화면을 몇 번씩이나 되돌려 가며 다시 보았지만, 휴대폰으로 보이는 사물을 자신의 왼쪽 귀 부위에 대고는 태연히 거리를 걷고 있는 여성을 보고 그녀가 시간 여행자가 틀림없다는 확신을 하게..